반응형

국악기소개 18번째 '징' 입니다.

징놀이 영상 먼저 감상해보까요!

느닷 징놀이

 

은 중국에서 사용하던 악기로 고려 공민왕때 명나라에 수입하여 취타에 편성되어 사용된 기록이 있으나 정확한 유입시기는 알수 없습니다.

용도에따라 정, 금, 금징, 대금 등 명칭이 다양하지만 주로 '징' 으로 불리우며

크기도 다양하지만 모두 '징'에 속합니다.

 

은 일정비율의 구리와 주석이 합금된것을 여러번의 망치질과 담금질로 완성하는 방짜유기 공법으로만 제작되는데 

현재는 우리나라에만 전해지는 기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명맥만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징~~ 하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고 하네요

 

의 크기는 대략 21cm~50cm까지 다양한데

지름이 크고 두꺼울수록 울림이 깊습니다.

앞서 소개한 꽹과리도 징과 같은 공법으로 제작이 되는데 크기가 크면 징 작으면 꽹과리가 되겠습니다.

 

 

 

은 조선시대 군대에서는 북과 함께 신호용 악기로 사용되었는데

전장에서 '북'소리는 군대 행렬의 '전진'을, '징'소리는 '퇴진'을 뜻하는 신호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악기가 단순해보여도 농악, 무속음악, 불교음악, 군악등 다양한곳에서 중요한 악기로 활용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권의 민속음악에서도 두루 활용되고 있는 악기 입니다.

 

은 다른 타악기처럼 따로 장단이 있지는 않지만, 

장단의 첫박이나 중요한 위치를 짚어줌으로 음악상의 단락을 잘 매듭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쇠를 울려 내는 소리이지만 부드러운 음색과 포근한 여운으로 

사물놀이에서 징은 '바람'에 비유 됩니다..

 

음향적으로보면 징은 '맥놀이현상' 으로 인해 풍부한 배음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주파수가 비슷한 두 개의 파동이 간섭을 일으켜서 새로운 합성파가 만들어지는 현상, 

주파수가 약간 다른 두개의 파동에 의한 일종의 간섭현상이다. 두산백과] 

징이 맥놀이 현상은 갖는 이유는 합금, 그리고 '방짜유기'라고 하는 고유제작기법에 의한것이라고 합니다.

에밀레종이 웅장한 소리를 내는 것 또한 이와같은 이유라고 하네요.

 

 

반응형

'Ent 공부 > Traditional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기 소개 17 '북'  (0) 2020.09.23
국악기 소개 16 '장구'  (0) 2020.09.14
국악기 소개 15 '꽹과리'  (0) 2020.09.09
사물놀이  (0) 2020.09.05
국악기 소개 14 '운라'  (0) 2020.09.04
반응형

국악기 소개 벌써 17개의 악기를 소개했네요

오늘은 악기중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악기 '북' 입니다.

 

U-so 판굿 북놀이

 

소개

타악기 중에 대표적인 타악기로 아주 오래전부터 적을 위협하거나 주술, 제사의 용도로써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달한 악기를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20여종의 북이 있는데 이중 10여종의 악기가 현재까지도 연주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중에 '북'하면 쉽게 떠올리는 사물북’  정리해 봤습니다.

 

 

 

사물북과 풍물북

사물북(쐐기북)

사물놀이 풍물놀이에서 쓰이며 북 중앙에 쐐기가 박혀있어서 '쐐기북' 이라고도 합니다.

나무는 주로 오동나무를 사용하며 소나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전에는 나무를 통으로 파내어 사용했지만 요즘에는 나무 조각들을 붙여서 많이 사용합니다,

가죽은 개와 소를 주로 사용하여 양쪽에 대고 줄로 팽팽하게 조여 만들었습니다.

북을 치는 북채는 잡목부터 박달나무 탱자나무 등등 다양한 종류의 나무를 깎아서 사용합니다.

 

왼쪽 : 사물북(쐐기북) 오른쪽 : 풍물북(줄북)

풍물북(줄북)

'사물북'과 '풍물북'은 혼용되어 쓰이고 있지만 지역과 용도에 따라서 구분됩니다.

풍물놀이(농악)는 앉아서 연주하는 사물놀이와 달리 악기를 매고 뛰어다니며 연주하기 때문에 많은 체력을 소모합니다.

그래서 이때 속을 파내서 만든 통북보다는 나무조각들을 붙여서 만들어 보다 가벼운 쪽북을 사용합니다.

이때 쓰는 북을 '풍물북' 이라고 합니다.

 

왼쪽 사진의 사물북이 풍물놀이에서도 주로 쓰여서인지 용어가 혼용되어 쓰이는데

좀더 쉽게 얘기하면 풍물놀이에서는 풍물북, 사물놀이에서는 사물북 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오른쪽 사진의 풍물북은 경상도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고있습니다.

앉은반 사물놀이에서 북치배를 보면 보통 왼손으로는 북을 잡고 오른손으로 북채를 쥐고서 때리는데

어떨때는 북을 칠때마다 왼쪽 팔을 같이 파닥 파닥 거리는데  그러는지 궁금했었습니다.

가락은 단순한데 몸은 굉장히 요란하더라구요 

 

이 요란한 몸짓을 ‘날개짓’ 이라고 하는데

오른손으로 북을 치다보면 피가 한쪽으로 쏠리면서 쉽게 피로가 오는데

이때 날개짓을 함으로써 팔의 피로를 덜기 위해서 그런 동작을 취한다고 합니다.

반응형

'Ent 공부 > Traditional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기 소개 18 '징'  (0) 2020.10.29
국악기 소개 16 '장구'  (0) 2020.09.14
국악기 소개 15 '꽹과리'  (0) 2020.09.09
사물놀이  (0) 2020.09.05
국악기 소개 14 '운라'  (0) 2020.09.04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특수기호 명칭이 궁금해져서 정리해봤다.

 

특수기호

영문명

한글명

!

Exclamation Point (엑스클러메이션 포인트)

느낌표

"

Quotation Mark (쿼테이션 마크)

큰 따옴표, 인용부호

#

Crosshatch (크로스해치), Sharp()

반올림표, 

$

Dollar Sign (달러사인)

달러화 표시

%

Percent Sign (퍼센트사인)

퍼센트 기호

@

At Sign (앳 사인, 혹은 앳)

골뱅이,

&

Ampersand (앰퍼샌드)

앤드 기호

'

Apostrophe (아포스트로피)

작은따옴표 생략, 소유격부호

*

Asterisk (애스터리스크)

별표

-

Hyphen (하이픈), Dash (대시)

붙임표, 이음표

,

Comma (콤마)

쉼표

.

Period (피리어드), Full Stop (풀스탑)

마침표

?

Queshion mark (퀘션 마크)

물음표

/

Slash (슬래시), Virgule (버귤)

빗줄표, 슬러시

Back Slash (백슬래시)

역빗줄표, 역슬러시

\

Won sign (원사인)

원화 표시

:

Colon (콜론)

콜론, 대비표

;

Semicolon (세미콜론)

세미콜론, 작은 대비표

^

Circumflex (서컴플렉스)

꺽쇠, 곡절부호

`

Grave (그레이브)

그레이브, 저음부호

(

Left Parenthesis (레프트 퍼렌씨시스)

()괄호 열기

)

Right Parenthesis (라이트퍼렌씨시스)

()괄호 닫기

{

Left Brace (레프트 브레이스)

중괄호 열기

}

Right Brace (라이트 브레이스)

중괄호 닫기

[

Left Bracket (레프트 브래킷)

대괄호(각괄호) 열기

]

Right Bracket (라이트 브래킷)

대괄호(각괄호) 닫기

|

Vertical Bar (버티컬 바)

세로직선, 버티컬 바

~

Tilde (틸드)

물결표

=

Equal Sign (이퀄사인)

등호, 이퀄

+

Plus Sign (플러스사인)

더하기

-

Minus Sign (마이너스사인)

빼기

_

Underscore (언더스코어),

Underline (언더라인)

밑줄

<

Less Than Sign (레스 댄 사인)

표제 괄호 열기

>

Greater Than Sign (그레이터 댄 사인)

표제 괄호 닫기

반응형
반응형

국악기 소개 열여섯번째는 한번쯤은 연주해봤을 친숙한 타악기 '장구'입니다.

 

민족음악원 삼도 설장구

 

소개

장구(杖鼓)는 채로치는 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한문으로 읽을때는 장고로 읽기 때문에 '장고' 라고도 불리고, 허리가 얇은 악기라고 해서 ‘세요고’(細腰鼓) 라고도 불립니다.

 

유래

허리가 잘록한 요고 종류의 악기는 인도에서부터 일본에 이르기까지 여러 국가에 분포되어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구려 벽화에 장구가 그려져 있는것으로 보아 고구려때부터 요고를 수용해 연주에 사용했던 것으로 보고있으며 이후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한국적인 독특한 악기로 변형, 발전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문헌기록에는 고려때 처음 등장하고 이때부터 아악을 제외한 당악 향악 등 모든 악기 편성에 들어가 연주되었으며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계승되어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오늘날 국악에서는 새롭게 창작되는 음악이나 판소리를 제외한 거의 모든 악기편성에 들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구조

장구의 몸통(울림통)은 보통 오동나무(보급용)를 사용하고

양쪽에 댄 가죽은 소, 양, 개, 노루, 말등 여러 동물의 가죽을 사용할 수 있는데, 궁글채로 연주하는 궁편에는 소가죽 개가죽, 채편에는 소가죽 말가죽을 주로 사용합니다.

열채는 대나무를 깎아서 만들고 궁글채는 대뿌리를 사용해서 만듭니다.

 

종류

사물장구와 장단장구(정악장구)

장구는 크게 사물장구 장단장구 나뉩니다.

이름에서 알수있듯이 사물장구는 사물놀이, 풍물놀이, 독주악기에 쓰이며 위에 사진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사물장구는 민속에서 주로 쓰였으며 사물놀이 이후 더욱 널리 쓰이게 되었죠

타악기 중에서 유일하게 독주가 가능한 악기입니다.

 

이외에 반주에 사용되는 장단장구는 거의 모든 음악편성에 들어가 반주로 연주되는 악기입니다.

반주이기 때문에 본 연주자의 음악에 잘 조화되도록 연주하며 다양한 변형 장단을 구사하여 음악의 맛을 돋우어 줍니다. 

반주는 큰소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오른쪽 채편은 주로 변죽을 치며 왼쪽에는 궁글채 대신에 손바닥으로 연주합니다.

장단장구는 사물장구보다 좀더 크고 무겁습니다.

사용되는 가죽도 조금 다른데 왼쪽 궁편에 쓰이는 가죽이 좀더 두껍고 개가죽을 주로 사용합니다.

장단장구

 

 

장구는 오래전부터 일상생활에 매우 친숙하게 사용되어온 악기입니다.

그래서인지 장구에 관한 속담이나 관용 표현이 많은데요

 

맞장구치다 : 남의 말에 동조하여 같은 말을 하거나 부추기거나 하다.

풍물놀이 할 때 둘이 마주서서 치는 장구를 '맞장구'라고 합니다.

 

변죽만 울리다 - 바로 집어 말을 하지 않고 둘러서 말을 하다.

장구 복판과 테두리 사이의 딱딱한 부분을 '변죽'이라고 합니다

 

이외에도 "남의 장단에 춤춘다" "선무당이 장구 나무란다" 등등

생활속에 장구에 관한 표현이 많이 들어있는 것을 보면 

장구는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오면서 우리 일상생활에 속에 깊숙히 들어와 있는 것 같네요

반응형

'Ent 공부 > Traditional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기 소개 18 '징'  (0) 2020.10.29
국악기 소개 17 '북'  (0) 2020.09.23
국악기 소개 15 '꽹과리'  (0) 2020.09.09
사물놀이  (0) 2020.09.05
국악기 소개 14 '운라'  (0) 2020.09.04
반응형

꽹꽹~ 하는 소리가 난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인 꽹과리 입니다.

 

국악연희단 하나아트 - 짝쇠놀음

소개

꽹과리는 깽맥이, 쇠, 꽝쇠, 소금(小金), 등 제례악부터 무속음악까지 사용하는 곳에 따라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문헌기록을 보면 신라시대 때 만들어졌다는 것과 

고려 공민왕때 주나라에서 만들어져 중국 명나라를 통해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꽹과리의 주성분은 구리와 아연을 섞어 만든 놋쇠로 만들었으며 지름이 20cm정도 되는 작은 악기입니다.

놋쇠로 만든 꽹과리가 시중에 보급되고 있는 '막쇠' 이고

금을 넣은 꽹과리는 '금쇠', 은을 넣은 꽹과리는 '은쇠' 라고 부릅니다

 

꽹과리 채는 머리와 대로 구분대며 대의 재료는 대부분 대나무 뿌리를 사용하고

머리의 재료는 보통 박달나무, 탱자나무를 사용합니다.

꽹과리

 

꽹과리의 구조는 굉장히 단순해보이고 소리는 그저 시끄럽게 나는  같지만 

첨가물에 따라 소리가 맑고 탁함이 다르며 암쇠와 숫쇠로 나뉘어 연주됩니다.

타법 또한 굉장히 다양하고 치는 것이 미묘해서 사물놀이 악기중에서 처음 배우기가 어려운 악기 입니다.

 

보통 꽹과리를 잡은 사람이 무대를 지휘하는 지휘자 역할을 하는데 

 사람을 상쇠라고 부르며 소리가 야물고 높은 숫꽹과리를 사용합니다.

2연주자는 부쇠라고하며 소리가 부드럽고 낮은 암꽹과리를 사용합니다.

사물놀이를 보면 징을 치던 사람이 후반부에서 꽹과리를 잡고 상쇠와 함께 이야기 하듯이 가락을 주고받는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을 짝드름’,'짝쇠놀음' 라고 합니다. 

위에 동영상이 그 연주인데요 화려한 변주가 아주 기가막히지 않나요??ㅎ

 

왼손 잡는 법

 

 

꽹과리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소에서 실험한 재미있는 결과를 알게되었는데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 받은 전국의 5개 지역 풍물굿과 전국 유명 사물놀이 연주단의 상쇠를 대상으로 

‘꽹과리 음향 선호도 조사’를 했는데 흥미롭게도 동쪽과 서쪽으로 뚜렷하게 양분되었다고 하네요

 

경상·강원 지역의 상쇠는 높고 센 소리를(4000hz~6000hz 밀집되어 있는 배열)

경기·충청·전라 지역의 상쇠는 낮고 여린 소리를(2000hz~6000hz 비교적 고른 배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 연구내용이 흥미로워서 자세히 읽어봤는데

혹시 관련내용이 궁금하신분이 있을까 싶어 링크를 걸어드렸습니다 ㅎ

http://210.95.200.119/100_ncktpa/400_Book/10007045/11.htm

 

 

반응형

'Ent 공부 > Traditional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기 소개 17 '북'  (0) 2020.09.23
국악기 소개 16 '장구'  (0) 2020.09.14
사물놀이  (0) 2020.09.05
국악기 소개 14 '운라'  (0) 2020.09.04
국악기소개 13 '편경', '특경'  (0) 2020.08.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