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사 28

[개념정리] NPL (Non Performing Loan) 부실채권

NPL 개념정리 NPL 이란 금융기관의 대출 채권 중 부도 등의 사유로 정상적으로 회수되고 있지 않은 대출 채권 채권 = 내가 받을 돈 / 부실채권 = 못 받을 가능성이 많은 돈 여신 건전성에 따른 5단계 채권 분류 정상 : 이자를 잘 내고 있는것 (대손충당금 0.85%) 요주의 : 1~3개월 이자 연체 (대손충당금 7%) 고정여신 : 3개월 이상 연체 (대손충당금 20%) => 여기서부터 부실채권 회수의문 : 사실상 못 받을 돈 (대손충당금 50%) 추정손실 : 확실하게 못 받는 돈 (대손충당금 100%) 대손충당금 : 못받을 경우를 대비해 챙겨두는 돈 => 부실채권이 증가하는 만큼 은행은 메워야 하는 대손충당금이 증가, 증가할수록 운영이 힘들어짐. 부실채권은 한나라의 경제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은..

관심사/상식 2023.02.27

'이용하다' 와 '사용하다' 의 차이점

‘이용'이나 '사용'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때 어떤 단어를 사용해야할 헷갈린다. 의미 전달에 큰 무리가 없기에 일상에서 두가지가 혼용되어 사용되지만 엄연히 구분이 가능하다 이용과 사용의 명확한 차이와 알맞은 사용법에 대해서 완벽하게 숙지해보자 사전적 정의 이용하다 대상을 필요에 따라 이롭게 쓰다 ex) 지하철을 이용하다 다른 사람이나 대상을 자신의 이익을 채우기 위한 방편으로 쓰다 ex) 남의 약점을 이용해 돈을 뜯어내다 사용하다 일정한 목적이나 기능에 맞게쓰다 ex) 어른에게 존댓말을 사용하다 사람을 다루어 이용하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이용과 사용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용하다’는 ‘대상을 필요에 따라 이롭게 쓰다.’라는 뜻을 나타내고, ‘사용하다’는 ‘일정한 목적이나 기능에..

관심사/상식 2023.01.25

FAQ와 Q&A 의 차이점

FAQ 와 Q&A 가 혼용되어 사용되는 것 같다 두가지 모두 질문과 답변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 고객센터에서 자주 문의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정리해 놓은 문서를 말한다. 서비스 공간에 상시 게시되어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나열되어 있다. Q&A (Question and Answer) 이용자가 문의사항을 올리면 고객센터 담당자가 답변을 작성하는 형태를 말한다

관심사/상식 2023.01.11

신문이나 잡지 기사에 자주나오는 한자 정리

뉴스나 기사를 읽다보면 한자에서 흐름이 막힐때가 종종 있다 자주 사용되는 한자를 정리했다 與 더불 여, 줄 여 1. 더불다(둘 이상의 사람이 함께하다) 2. 같이하다 3. 참여하다(參與--), 참여하다 한자유래 與자는 ‘주다’나 ‘더불다’, ‘같이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與자는 舁(마주들 여)자와 与(어조사 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런데 與자의 금문을 보면 코끼리 상아를 서로 붙잡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누군가에게 상아를 건네주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與자의 본래 의미는 ‘주다’였다. 그러나 지금의 與자는 물건을 서로 맞잡고 있다 하여 ‘더불다’나 ‘같이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野 들 야 1. 들, 들판 2. 민간(民間: 일반 백성들 사이)(≠朝) 3. 문밖, 마..

관심사/상식 2023.01.05

국악기 소개 18 '징'

국악기소개 18번째 '징' 입니다. 징놀이 영상 먼저 감상해보까요! 느닷 징놀이 징은 중국에서 사용하던 악기로 고려 공민왕때 명나라에 수입하여 취타에 편성되어 사용된 기록이 있으나 정확한 유입시기는 알수 없습니다. 용도에따라 정, 금, 금징, 대금 등 명칭이 다양하지만 주로 '징' 으로 불리우며 크기도 다양하지만 모두 '징'에 속합니다. 징은 일정비율의 구리와 주석이 합금된것을 여러번의 망치질과 담금질로 완성하는 방짜유기 공법으로만 제작되는데 현재는 우리나라에만 전해지는 기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명맥만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징~~ 하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고 하네요 징의 크기는 대략 21cm~50cm까지 다양한데 지름이 크고 두꺼울수록 울림이 깊습니다. 앞서 소개한 꽹과리도 징과 같은..

국악기 소개 17 '북'

국악기 소개 벌써 17개의 악기를 소개했네요 오늘은 악기중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악기 '북' 입니다. U-so 판굿 북놀이 소개 북은 타악기 중에 대표적인 타악기로 아주 오래전부터 적을 위협하거나 주술, 제사의 용도로써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달한 악기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20여종의 북이 있는데 이중 10여종의 악기가 현재까지도 연주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중에 '북'하면 쉽게 떠올리는 ‘사물북’ 을 정리해 봤습니다. 사물북과 풍물북 사물북(쐐기북) 사물놀이 풍물놀이에서 쓰이며 북 중앙에 쐐기가 박혀있어서 '쐐기북' 이라고도 합니다. 나무는 주로 오동나무를 사용하며 소나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전에는 나무를 통으로 파내어 사용했지만 요즘에는 나무 조각들을 ..

특수기호 명칭 정리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특수기호 명칭이 궁금해져서 정리해봤다. 특수기호 영문명 한글명 ! Exclamation Point (엑스클러메이션 포인트) 느낌표 " Quotation Mark (쿼테이션 마크) 큰 따옴표, 인용부호 # Crosshatch (크로스해치), Sharp(샵) 반올림표, 샵 $ Dollar Sign (달러사인) 달러화 표시 % Percent Sign (퍼센트사인) 퍼센트 기호 @ At Sign (앳 사인, 혹은 앳) 골뱅이,앳 & Ampersand (앰퍼샌드) 앤드 기호 ' Apostrophe (아포스트로피) 작은따옴표 생략, 소유격부호 * Asterisk (애스터리스크) 별표 - Hyphen (하이픈), Dash (대시) 붙임표, 이음표 , Comma (콤마) 쉼표 . Period (..

관심사/상식 2020.09.16

국악기 소개 16 '장구'

국악기 소개 열여섯번째는 한번쯤은 연주해봤을 친숙한 타악기 '장구'입니다. 민족음악원 삼도 설장구 소개 장구(杖鼓)는 채로치는 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한문으로 읽을때는 장고로 읽기 때문에 '장고' 라고도 불리고, 허리가 얇은 악기라고 해서 ‘세요고’(細腰鼓) 라고도 불립니다. 유래 허리가 잘록한 요고 종류의 악기는 인도에서부터 일본에 이르기까지 여러 국가에 분포되어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구려 벽화에 장구가 그려져 있는것으로 보아 고구려때부터 요고를 수용해 연주에 사용했던 것으로 보고있으며 이후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한국적인 독특한 악기로 변형, 발전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문헌기록에는 고려때 처음 등장하고 이때부터 아악을 제외한 당악 향악 등 모든 악기 편성에 들어가 연주되었으며..

국악기 소개 15 '꽹과리'

꽹꽹~ 하는 소리가 난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인 ‘꽹과리’ 입니다. 국악연희단 하나아트 - 짝쇠놀음 소개 꽹과리는 깽맥이, 쇠, 꽝쇠, 소금(小金), 등 제례악부터 무속음악까지 사용하는 곳에 따라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문헌기록을 보면 신라시대 때 만들어졌다는 것과 고려 공민왕때 주나라에서 만들어져 중국 명나라를 통해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꽹과리의 주성분은 구리와 아연을 섞어 만든 놋쇠로 만들었으며 지름이 20cm정도 되는 작은 악기입니다. 놋쇠로 만든 꽹과리가 시중에 보급되고 있는 '막쇠' 이고 금을 넣은 꽹과리는 '금쇠', 은을 넣은 꽹과리는 '은쇠' 라고 부릅니다 꽹과리 채는 머리와 대로 구분대며 대의 재료는 대부분 대나무 뿌리를 사용하고 머리의 재료는 보통 박달나무, 탱자나무를 사..

사물놀이

꽹과리 장구 북 징 네가지 악기 놀이 "사물놀이" 입니다. 사물놀이 창시자분들의 연주동영상 보면서 시작할까요! 먼저 영상하나 보고 가시죠!! 1분 이후부터 보면 본격적인 연주가 시작됩니다 1987년 일본 산토리홀 '삼도가락 앉은반' 동영상 입니다. 쇠 - 이광수, 장구 - 김덕수, 북 - 최종실, 징 - 강민석 소개 먼저'사물놀이'라는 단어는 원래 절에 불교의식에 쓰이는 '법고', '운판', '목어', '범종',을 가리키던 말입니다. 하지만 '사물놀이'라는 단어가 1978년 인사동의 한 소극장에서 창단한 놀이패의 명칭으로 쓰이면서 의미가 바뀌었고, 곧 꽹과리, 장고, 북, 징 이 네가지 민속악기로 연주하도록 편성된 합주 형태의 음악으로써 국악의 예술 갈래를 지칭하는 말로 변모되었습니다. 역사 사물놀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