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사/국악기 소개 18

국악기 소개 18 '징'

국악기소개 18번째 '징' 입니다. 징놀이 영상 먼저 감상해보까요! 느닷 징놀이 징은 중국에서 사용하던 악기로 고려 공민왕때 명나라에 수입하여 취타에 편성되어 사용된 기록이 있으나 정확한 유입시기는 알수 없습니다. 용도에따라 정, 금, 금징, 대금 등 명칭이 다양하지만 주로 '징' 으로 불리우며 크기도 다양하지만 모두 '징'에 속합니다. 징은 일정비율의 구리와 주석이 합금된것을 여러번의 망치질과 담금질로 완성하는 방짜유기 공법으로만 제작되는데 현재는 우리나라에만 전해지는 기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명맥만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징~~ 하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고 하네요 징의 크기는 대략 21cm~50cm까지 다양한데 지름이 크고 두꺼울수록 울림이 깊습니다. 앞서 소개한 꽹과리도 징과 같은..

국악기 소개 17 '북'

국악기 소개 벌써 17개의 악기를 소개했네요 오늘은 악기중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악기 '북' 입니다. U-so 판굿 북놀이 소개 북은 타악기 중에 대표적인 타악기로 아주 오래전부터 적을 위협하거나 주술, 제사의 용도로써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달한 악기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20여종의 북이 있는데 이중 10여종의 악기가 현재까지도 연주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중에 '북'하면 쉽게 떠올리는 ‘사물북’ 을 정리해 봤습니다. 사물북과 풍물북 사물북(쐐기북) 사물놀이 풍물놀이에서 쓰이며 북 중앙에 쐐기가 박혀있어서 '쐐기북' 이라고도 합니다. 나무는 주로 오동나무를 사용하며 소나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전에는 나무를 통으로 파내어 사용했지만 요즘에는 나무 조각들을 ..

국악기 소개 16 '장구'

국악기 소개 열여섯번째는 한번쯤은 연주해봤을 친숙한 타악기 '장구'입니다. 민족음악원 삼도 설장구 소개 장구(杖鼓)는 채로치는 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한문으로 읽을때는 장고로 읽기 때문에 '장고' 라고도 불리고, 허리가 얇은 악기라고 해서 ‘세요고’(細腰鼓) 라고도 불립니다. 유래 허리가 잘록한 요고 종류의 악기는 인도에서부터 일본에 이르기까지 여러 국가에 분포되어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구려 벽화에 장구가 그려져 있는것으로 보아 고구려때부터 요고를 수용해 연주에 사용했던 것으로 보고있으며 이후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한국적인 독특한 악기로 변형, 발전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문헌기록에는 고려때 처음 등장하고 이때부터 아악을 제외한 당악 향악 등 모든 악기 편성에 들어가 연주되었으며..

국악기 소개 15 '꽹과리'

꽹꽹~ 하는 소리가 난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인 ‘꽹과리’ 입니다. 국악연희단 하나아트 - 짝쇠놀음 소개 꽹과리는 깽맥이, 쇠, 꽝쇠, 소금(小金), 등 제례악부터 무속음악까지 사용하는 곳에 따라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문헌기록을 보면 신라시대 때 만들어졌다는 것과 고려 공민왕때 주나라에서 만들어져 중국 명나라를 통해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꽹과리의 주성분은 구리와 아연을 섞어 만든 놋쇠로 만들었으며 지름이 20cm정도 되는 작은 악기입니다. 놋쇠로 만든 꽹과리가 시중에 보급되고 있는 '막쇠' 이고 금을 넣은 꽹과리는 '금쇠', 은을 넣은 꽹과리는 '은쇠' 라고 부릅니다 꽹과리 채는 머리와 대로 구분대며 대의 재료는 대부분 대나무 뿌리를 사용하고 머리의 재료는 보통 박달나무, 탱자나무를 사..

국악기 소개 14 '운라'

구운라, 운오라고도 불리는 국악기 '운라'를 소개합니다 저도 딱 한번 들어본 악기인데 너무 생소해서 제대로 된 연주 동영상 조차 없네요^^; 소개 정보가 한정적이고 비슷해서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가져왔습니다. 구운라(九雲鑼) 또는 운오(雲璈)라고도 한다. 구리로 둥근 접시 모양의 작은 징(小鑼)10개를 나무틀에 달아매고 작은 나무망치로 친다. 틀(架子)의 아래에 자루가 달린 것과 방대(方臺)가 붙은 두가지가 있는데, 행악(行樂) 때에는 이 자루를 왼손으로 잡고 치며, 고정된 위치에서 연주할 때에는 대받침(방대)에 이를 꽂아놓고 치게 되어 있다. 틀의 길이는 1척, 너비는 1척 5촌, 나무자루의 길이는 5촌 5푼이다. 10개의 징(鑼)의 배열은 맨 아래칸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중려(仲呂, Ab)·임종(林..

국악기소개 13 '편경', '특경'

국악기 조율의 평균 '편종'입니다. 영상 가장 뒤에 ㄱ자 모양으로 생긴 악기가 편종입니다. 국립국악원 토요명품 공연 - 보허자 낙양춘 소개 편경은 앞서 설명한 '편종'과 함께 쌍을이루는 악기로 ㄱ자 모양으로 깎은 16개의 경돌을 두 단으로 된 나무 틀에 위아래 여덟개씩 매달아 소뿔로 만든 각퇴로 때려서 연주하는 유율 타악기 입니다. 고려 1116년에 함께 들어와 궁중음악에서 아악을 대표하는 악기로 자리잡았습니다. 편경은 악기를 만드는 돌이 희귀하여 중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했는데 이때 들어올때마다 크기와 모양이 달랐고 음정도 불안정했습니다. 무엇보다 편경의 재료가 되는 옥돌이 조선에서는 희귀한 재료였기 때문에 흙을 구워 만든 '와경'을 대신하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와경'은 음색은 물론 음정도 제대..

국악기 소개 12 '편종', '특종'

화려한 장식속에 임금의 권위와 위엄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편종'입니다. 국립국악원에서 연주하는 보허자와 낙양춘을 동영상으로 가져왔는데요 가장 뒤에 종처럼 생긴 악기가 편종입니다. 국립국악원 토요명품 공연 - 보허자 낙양춘 소개 편종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전통악기로 쇠로 만든 종을 위아래 여덟개씩 16개의 종을 틀에 달아 소뿔로 만든 '각퇴'로 종의 돋을새김한 곳을 때려서 연주하는 유율 타악기 입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년) 1116년 송나라에서 처음 수입되어서 이후 궁중제례악에 사용되었습니다. 중국에서 수입한 편종은 종의 크기를 달리하여 음정을 다르게 내었는데 세종시대 부터는 주종소를 두고 직접 제작하게 했는데 종의 크기는 모두 같고 두께를 다르게 제작하여 음정을 내었습니다. 12율 4청성, ..

국악기 소개11 '퉁소'

국악기 소개 11번째 '퉁소' 입니다. 많이 들어본악기이지만 소리와 이미지를 떠올리려려면 많이 생소하지요? 북청사자놀음 함경남도 북청군 일대에서 해마다 음력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며칠동안 잔치하며 연희하는 사자놀음입니다. 1분정도에 보이는 악기가 퉁소 입니다. 크기가 굉장히 크죠?? 소개 퉁소 는 한자로는 洞簫 '동소'이지만 '퉁소'라 읽습니다. 뜻은 한쪽 끝이 막힌 대금과 달리 단소처럼 아래위가 다 뚫려 통(퉁)해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주 방법 역시 단소와 유사하여 취구에 입술을 대고 관 속으로 입김을 불어넣는 방식으로 연주합니다. 퉁소는 높고 청아한 소리를 내는 단소보다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더 굵고 낮은 소리를 내는데 대금과 음색이 비슷합니다. 퉁소의 크기와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대금..

국악기 소개10 '단소'

안녕하세요 알팅입니다. 국악기 소개 10번째 ‘단소’ 입니다. 어렸을 때 단소한번씩은 불러 보셨죠?? 초등학교 음악시간에 중임중임 무황무황 태~ 하면서 아리랑을 불렀던 것 같은데 리코더와는 달리 소리내는게 참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혹시 여러분은 단소 전문가의 연주소리를 들어보셨나요?? 소리가 너무너무 청아하고 아름답습니다. 아래 연주를 감상하면서 단소에 대해 알아볼까요?^^ 김정승 - 청성 자진한잎 단소 단소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길이가 짧은 종적이라는 뜻으로 세로로 부는 관악기중 가장 짧은 악기 입니다. 뒤에 구멍 1개, 앞에 4개로 다른 악기들에 비해 비교적 구조가 단순합니다. 주 재질은 노란색을 띈 황죽과 3년이상 묵은 거무스름한 오죽을 주로 사용하며 지공이 앞에 4개 뒤에 1개 총 5개로 다른..

국악기 소개9 '양금'

안녕하세요 '예술과 사람이 만나다' 알팅입니다. 오늘 소개할 국악기는 '양금' 입니다. 국립국악원 수룡음 - 왼쪽부터 생황, 단소, 양금, 아쟁 양금 양금은 사다리꼴 상자위에 긴 괘를 2개 세우고 쇠로 만든 현을 얹어 놓고 대나무로 때려서 소리를 내는 금속 현악기 입니다. 한국 전통악기중 유일한 타현 악기이며 천연 재료들을 가지고 만들어 연주하는데 국악기들 가운데 양금만 가공된 철이 사용되어 만들어집니다. 양금의 역사 양금은 고대 앗시리아, 페르시아에서 기원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서쪽 유럽으로 건너가서는 오늘날 유럽의 민속악기인 '덜시머'로 불리며 연주되었고, 남쪽 아라비아로 건너가서는 '산투르' 라고 불리며 연주되었으며, 동쪽으로는 16세기 경에 청나라에 소개되면서 이즈음 조선 영조때에(18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