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라, 운오라고도 불리는 국악기 '운라'를 소개합니다
소개
정보가 한정적이고 비슷해서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가져왔습니다.
구운라(九雲鑼) 또는 운오(雲璈)라고도 한다. 구리로 둥근 접시 모양의 작은 징(小鑼)10개를 나무틀에 달아매고 작은 나무망치로 친다. 틀(架子)의 아래에 자루가 달린 것과 방대(方臺)가 붙은 두가지가 있는데, 행악(行樂) 때에는 이 자루를 왼손으로 잡고 치며, 고정된 위치에서 연주할 때에는 대받침(방대)에 이를 꽂아놓고 치게 되어 있다.
틀의 길이는 1척, 너비는 1척 5촌, 나무자루의 길이는 5촌 5푼이다. 10개의 징(鑼)의 배열은 맨 아래칸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중려(仲呂, Ab)·임종(林鐘, Bb)·남려(南呂, C) 3개, 둘째 칸은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무역(無射, db)·황종(黃鐘, eb)·태주(太簇, f) 3개, 셋째 칸은 다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고선(姑洗, g)·중려(ab)·임종(bb) 3개, 마지막 넷째 칸은 바로 중앙에 남려(C) 한개가 달려 있다.
징의 지름은 10개가 모두 같으나 그 후박(厚薄)으로 높낮이가 달라서, 얇으면 낮은 음이 나고 두꺼워질수록 높아가는 것은 편종·편경·방향의 경우와 같다. 운라는 『고려사』악지나 『악학궤범』에는 보이지 않고, 조선 순조 때의 『진연의궤』에 나온다. 음색이 맑고 밝아 흥겨운 곡이나 행악에 주로 쓰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운라 [雲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운라(雲?)의 ‘라’는 징과 같은 둥근 타악기를 가리키는 말로, 작은 징을 여러 개 매단 모습이 구름과 같다 하여 ‘운라’라는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입니다.
운라는 중국의 악기로서 우리나라에는 고려 공민왕때 원나라로부터 들어왔다는 설이 있으나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고 청나라를 통해 조선 후기에(순조) 들어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나무틀에 매달려 있는 10개의 악기는 구리로 만들어졌다고 하여 ‘동라’ 라고도 칭하고 보통 ’징’이라고 부릅니다.
편종 편경과 같이 두께를 달리해서 음정을 다르게 했고 나무망치로 때려서 소리를 냅니다.
현재 전통음악에서는 연주되고있지 않기때문에 쉽게 접하기 어려운 악기이고 본래 연례악이나 취타와같은 야외연주, 행진음악에 쓰였기 때문에 큰 행사가 있을 때나 볼 수 있습니다.
그동안 소개한 국악기들은 보통 전란으로 인해 연주법이 끊긴 악기들이었는데 '운라'는 구조나 연주법을 보면 쇠퇴(?)된것 같네요 (내 생각^^) 창작음악에 쓰인다고 하나 구조나 연주법을 보면 현대음악을 따라가기엔 한계가 보이는군요
'엔터테인먼트 > Traditional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기 소개 15 '꽹과리' (0) | 2020.09.09 |
---|---|
사물놀이 (0) | 2020.09.05 |
국악기소개 13 '편경', '특경' (0) | 2020.08.30 |
국악의 갈래 민속악 (0) | 2020.08.28 |
국악기 소개 12 '편종', '특종' (0) | 2020.08.26 |